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2

[독일어 문법] 의문문, 의문부사, 부정의문문 의문사가 없는 긍정 의문문 문장 순서 : 동사 + 주어 ~? 대답 : Ja (긍정의 대답) / Nein (부정의 대답) 부정 의문문 대답 : Doch (긍정의 대답) / Nein (부정의 대답) 긍정의문문 부정의문문 긍정대답 Ja Doch 부정대답 Nein Nein ※ doch : 부사로 조금 더 강하게, 부드럽게 이야기할 때 사용 가능 Heißt du Hans? 네 이름이 Hans야? Ja, ich heiße Hans. 응, 나는 Hans라고 해. Nein, ich heiße Tim. 아니, 나는 Tim이라고 해. Kommst du heute nicht? 너 오늘 오지 않니? Nein, ich komme nicht. 아니, 나 안 와. Doch, ich komme. 웬걸, 나 올 거야. 의문사가 있는 ..
[독일어 문법] 독일어 부사, 빈도부사와 시간부사 부사란? 시간, 빈도, 장소, 방법, 상황 등의 부가적 의미로 대개 동사를 수식하는 품사 형용사 및 다른 부사를 수식하기도 함 Addition 부가 + Verb 동사 = Adverbien 부사 (동사를 꾸며주는 품사) 부정 빈도부사 사건 및 일의 대략적 빈번도를 나타내는 부사 자주, 드물게, 한 번도 ~ 아닌, 등등을 표현 nie / niemals : 결코~아닌, 한번도 ~않은, ~한 적이 없는 fast nie : 거의 아닌 selten : 드믈게 manchmal : 때때로,종종, 이따금 öfters : 비교적자주, 종종 oft : 자주 meistens : 대개, 대체적으로 (meist), 보통은 jedesmal : 매번 immer : 항상 확정 빈도부사 정확한 빈번도를 나타내는 부사 매주, 3일에 한번..
[독일어 문법] 전치사 전치사란 (대) 명사 앞에서 '위치, 시간, 방향, 소유' 등을 나타내는 것 전치사 다음에 놓인 (대) 명사를 특정 형태의 격을 취한다 3격 지배 전치사 ab (시점, 출발점)부터 (출발하여) von ~의, (시간, 장소)~로부터 bei (~집, 회사)에, 근처에, 할 때 aus ~로부터(출신), 안에서 밖으로 mit ~와 함께, ~를 곁들여, ~을 타고 seit ~(하기 전)부터 (지금까지도) gegenüber ~건너편에 zu ~(일반장소, 사람)으로, ~하러 nach ~(나라, 도시)으로, ~한 후에 außer ~를 제외하고 4격 지배 전치사 bis (시간, 공간) ~까지 entlang ~를 따라서 gegen 대략, 반대하여 ohne ~없이 für ~를 위한, 찬성하는 um ~(정각)시에, ~를 둘러..
[독일어 문법] 시간표현 시간 질문과 대답 도대체 지금 몇 시에요 ? Wie spät ist es (denn jetzt) ? Wie viel Uhr ist es (denn jetzt) ? 3시입니다 Es ist 3 Uhr. 시간 표현 Uhr : 시계 , 시각 Zeit : 시간 (추상적), 시대 Minute : 분 Sekunde : 초 vor / nach : 전/후(지난) zehn vor zwölf 11.50 Uhr (10분 전 12시) zwanzig nach vier 4.20 Uhr (20분 지난(뒤) 4시) halb : ~반 halb (auf) sieben 6.30 Uhr (7시로 가는 도중 반 도착) halb vier 3.30 Uhr (4시로 가는 도중 반 도착) halb fünf 4.30 Uhr Viertel : 15 분 ..
[독일어 문법] 날짜표현 날짜 표현 형식 표기 : 요일. 일. 월. 년 순서로 사용 일자는 전치사 'an' 과 함께 사용 형식 : am(an+dem) + 서수 + en z.B) Ich bin am 9. (neunten) März 1985 geboren. Er hat am 22. (zweiundzwanzigsten) Oktober geburstag. 요일(pl. Wochentage) 남성 명사 (der) 월요일 Montag 화요일 Dienstag 수요일 Mittwoch 목요일 Donnerstag 금요일 Freitag 토요일 Samstag (= Sonnabend) 일요일 Sonntag (= Sonne) 월(Monat) 남성명사 (der) 1월 Januar 2월 Februar 3월 März 4월 April 5월 Mai 6월 Juni ..
연(鳶)과 연(緣) 오늘, 날이 참 좋다 #1 그날은 딱 오늘과 같았다 따뜻한 햇살이 바람을 타고 온 몸을 따뜻하게 감싸 안아주는 날이었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소리와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가 잔잔히 들려왔다 9살이었던 나는, 천장을 바라보고 누워 바람을 느끼다가 급하게 방패연을 만들기 시작했다 도저히 그냥 보낼 수 없는 바람이었다 다음날 학교 준비물로 준비해 두었던 방패연 급하게 만들어 학교 운동장으로 뛰어갔다 집에서 학교 운동장까지는 백여미터 거리에 불과했지만 마음이 급했던 나에게는 너무나 먼 거리로 느껴졌다 방패연과 얼레를 양손에 나눠 들고 학교 운동장으로 뛰어들기 시작하자마자 연을 바람에 놔주고 얼레를 풀며 달리고 또 달렸다 얼마나 달렸을까 숨이 턱까지 차오를때 쯤 버드나무 아래의 철제 의자 하나에 얼레를 꽂아두고, 또..
[독일어 문법] 숫자 읽기 기수 두자리 수 읽을때, 일의자리 수를 먼저 읽음 13 ~ 19 : '일의 자리 수 + 십의 자리수' 20 ~ 99 : '일의자리수 + und (그리고) + 십의자리수' 세자리 수 읽을때, 백단위 수를 먼저 읽고 십단위 수를 읽음 서수 서수 표현 : 숫자뒤에 . (점)으로 표기 z.B) 1. 3. 19. 1. ~ 19. : 기수 + t 예외 : erst (1.) , dritt (3.) , siebt(7), acht (8.) 20. 이상 : 기수 + st 화폐단위 Euro (유로) 와 Cent (센트) 를 모두 읽어야 할 경우 Cent 는 읽지 않음 z.B ) 1,00 : ein Euro 5,50 : fünf Euro fünfzig 0,50 : fünfzig Cent
중개형ISA 계좌 개설 중개형ISA란, 개인종합자산관리라는 뜻으로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좌라고 한다 마침, 7년간 보유하고 있었던 정기적금이 만기되어 중개형ISA 정보를 찾아보니 정부에서 개개인의 자산형성과 노후준비를 위해 적극 권장하는 상품이라고 소개되어 개설했다 중개형ISA 계좌 개설 이유 다양한 투자 가능 국내주식, ETF, ELS RP, ELS, 펀트 투자 가능 해외주식 투자 불가 (눈물 또르르..) 투자방식 증권사가 아닌 투자자 직접운용 만기 및 중도인출 3년 만기로 연 2,000만원까지 적립가능 (년 이월 가능) 납입원금 한도 내에서 인출 가능, 수익금액은 3년 만기 후 인출 가능 세제혜택 비과세 : 만기 시 200만원 한도까지 비과세 적용 분리과세 : 200만원을 초과한 수익에 대해서 9...
[독일어 문법] 문장의 특징 및 구조(문장어순정리) 독일어 문장의 특징 문장의 어순 주어 + 동사 + 3격 + 시간/언제(wann) + 이유/원인(warum) + 방법(wie) + 4격(wen, was) + 장소(wo, wohin) 해석) 주어가 3격에게 언제, 원인때문에, 어떻게, 4격을, 어디로, 동사한다 동사는 대부분 두번째 자리에 위치함 결정 의문문인경우 동사가 첫번째 위치함 : 동사 + 주어 + .... ? 의문사 의문문인경우 : 의문서 + 동사 + 주어 + .... ? 화법조동사가 사용될 경우 화법조동사가 두번째 자리에 위치하고 일반동사는 맨 뒤에 위치 함 (후치) 주어 + 조동사 + .... + 본동사 주어보다 강조가 필요한 문장을 맨 앞으로 도치시킬 수 있음 단, 도치 문장시에도 동사의 위치는 두번째로 변화하지 않음 '주어 + 동사 + 3격..
[독일어 문법] 동사기본, 분리동사, 비분리동사 동사의 기본 동사원형은 '어간+어미' 로 구성되어 있음, 대부분의 동사는 ' ~en/n' 으로 끝남 인칭대명사 1격에 따른 어미가 변화 함 평서문, 의문사의문문에서 동사는 두번째 자리에 위치 함 Ja/Nein 결정의문문에서 동사는 첫번째 자리에 위치함 어간까지 변화하는 불규칙 동사가 존재함 ※ 동사 어미변화 표 sg pl ich - e wir - en du - (e)st ihr - (e)t er/sie/es - (e)t sie/Sie - en 어간이 -d/t/gn/chn/tm/ckn/fn 으로 끝나는 경우 du,er,sie,es,ihr 에서 - est 로 적용 어간이 -s/ß/z/tz 로 끝나는 경우 - t 로 적용. 3인칭 단수와 동일 어간이 -er 로 끝나는 경우 wie, sie(그들), Sie 에서..
[독일어 문법] 인칭대명사와 소유대명사 인칭대명사 격에 따라 인칭대명사가 변화 함 ich, du, ihr, Sie : 사람에게만 사용 가능 소유대명사 소유관사 + 명사 소유관사 뒤에 오는 명사의 성, 격에 따라 소유관사의 어미가 변화 함 부정관사의 어미변화와 비슷
[독일어 문법] 관사와 명사 명사첫 글자는 대문자로 사용명사는 3가지의 성(das Genus)과 4가지의 격(der Kasus)으로 구분격에 따라 문장에서 다른뜻을 가질 수 있음복수와 단수로 구분 (단어 외울때 필수로 함께 외울 것)※ 성단수(Singular)복수 (Plural)남성(maskulin)여성(feminin)중성(neutral)derdiedasdie※ 격1 주격 (Nominativ)~ 은, 는, 이, 가2 소유격 (Genitiv)~ 의3 여격 (Dativ) - 간접목적어~ 에게4 목적격 (Akkusativ) - 직접목적어~ 을, 를 관사명사앞에 성, 수, 격을 표현정관사와 부정관사로 구분정관사와 부정관사정관사 (der, die, das) : 특정한, 이름을 알고있는 대상을 표현할때 사용부정관사 (ein-) : 특정하지 않..
반응형